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실수로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삭제를 한다고 해도 그 정보는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데이터복구를 해주면 다시 원래대로 복원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정보가 그대로 남아 있어야 된다는 전제 조건이 필요합니다. 삭제한 시점 이후 계속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면 이 남아 있어야 되는 정보 위로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이 되면서 오버라이트가 되어 사라지게 됩니다. 결과는 삭제 파일 복구가 불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삭제 파일 복구를 하기 전에 우선 확인을 해봐야 되는 것이 있는데 바로 휴지통입니다. 일반적으로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 저장이 됩니다. 용량이 너무 큰 파일은 저장이 되지 않고, Shift + delete 키를 눌러서 삭제한 경우도 저장되지 않고 완전삭제가 되어 버립니다. 실수로 삭제한 파일인데 다시 사용하고 싶다면 휴지통 파일 복원을 해주면 간단하게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됩니다.
휴지통 비우기를 했거니 휴지통에 저장자체가 되지 않았을 경우 삭제 파일 복구를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복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크에 남아 있는 정보를 찾아 복원을 해주게 됩니다.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성능과 기능 차이가 있기 때문에 꼭 확인을 하시고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 하신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물리고장이 있는 경우에는 복구 프로그램으로는 불가능하고 장비를 이용해야 되기 때문에 꼭 전문가와 상담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요즘 컴퓨터의 경우 대부분 SSD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삭제 파일 복구를 하는데 하나의 변수로 작용하게 되는데 SSD는 트림(TRIM) 기능이 있어 컴퓨터를 사용하는 동안 남아 있어야 되는 삭제한 파일의 정보를 자동으로 정리하여 완전삭제를 해버립니다. 이건 바로 적용이 되는 경우도 있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고 적용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SSD를 사용하는데 실수로 파일을 삭제했다면 컴퓨터를 바로 종료하고 트림 기능이 비활성화 된 컴퓨터에 연결하여 데이터복구 작업을 통해 다시 찾아야 됩니다.
삭제 파일 복구를 직접 해보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여기에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는데 데이터복구 프로그램에는 종류가 많은데 기능이나 성능이 다 다릅니다. 복원에는 성공했지만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빈파일 형태로 나오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는 디스크에 남아 있던 삭제파일정보가 손상이 되어 다시 다른 방법을 통해 복구를 해도 손상된 결과로만 나올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꼭 직접 할때에는 제대로 된 프로그램인지 사용법은 정확한지 확인을 하시고 진행하시기 바라며 중요한 파일이라 꼭 찾아야 된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해보신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데이터복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복구 - USB를 연결했느데 접근을 할 수 없다네요? (0) | 2019.12.13 |
---|---|
데이터복구 - 부팅이 안되는 노트북 하드디스크복구 가능하나요? (0) | 2019.12.11 |
데이터복구 - 외장하드 복구? 수리? 어떤게 맞는 거죠? (0) | 2019.12.09 |
데이터복구 - CF카드 인식불가인데 복구가 가능할까요? (0) | 2019.12.06 |
데이터복구 - 외장하드복구가 절대 안되는 상황 (0) | 2019.12.04 |